사자후닷컴은 인터넷 불국정토를 지향합니다.
회원가입
|
로그인
HOME
상황별법문
ㆍ교리
ㆍ추상
ㆍ내면상태
ㆍ외적상황
ㆍ대상직업
ㆍ경제상황
ㆍ대상연령
ㆍ특수상황
ㆍ출처분류
ㆍ경전명
추천!나만의법문
사자후법문
교계종합
종단뉴스
인물/동정
뉴스/간행물
사찰검색
테마사찰
지역별사찰
종단별사찰
정보변경요청
한국의사찰
불교용어집
문화재정보
불교와생활
공지사항
|
전체보기
|
불교신문(942)
|
한국불교신문(8)
|
밀교신문(198)
|
금강신문(768)
|
미디어붓다(15)
|
[1보] 대만 불광산사 성운 스님 입적
[원문]
[금강신문 홈]
대만 불광산사(佛光山寺) 개산 종장이자 국제불광회를 설립한 성운 스님이 2월 5일 법랍 85년, 세수 97세로 입적했다.대만 불광산사는 6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성운 스님의 입적을 발표했다. 앞서 대만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성운 스님은 뇌졸중으로 쓰러
[더보기]
〈부고〉 엄홍길 엄홍길휴먼재단 상임이사 모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엄홍길 엄홍길휴먼재단 상임이사의 모친 이맹임 여사가 1월 19일 별세했다. 항년 85세.빈소는 경희의료원장례식장 101호실, 발인은 1월 21일 오전 4시다. 장지는 경남 고성군 선영.
[더보기]
〈부고〉 김유신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팀장 부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김유신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장의 부친 김기종 님이 1월 18일 별세했다. 향년 96세. 빈소는 서울 중구 을지로 245(을지로6가)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 305호이다. 장지는 서울 추모공원이며, 발인은 1월 21일 오전 8시이다. (02)22
[더보기]
〈부고〉 양흥식 조계종 디지털불교대학 교학처장 빙부상
[원문]
[금강신문 홈]
양흥식 조계종 디지털불교대학 교학처장 장인 김용복 씨가 별세했다. 빈소는 전남 순천시 성가롤로 장례식장 2층 5호실, 발인은 1월4일이다.
[더보기]
“종조 열반 60주년… '참회·화합·혁신' 주제로 다양한 사업 전개”
[원문]
[밀교신문 홈]
진기 77(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앞두고 통리원장 도진 정사는 12월 16일 본지와 가진 신년 인터뷰를 통해 “종교의 생명은 포교와 교화에 있다. 중앙에서는 교구청을 중심으로 포교, 교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교구에서는 일선 심인
[더보기]
〈부고〉 BBS 불교방송 황민호 기자 조모상
[원문]
[금강신문 홈]
BBS 불교방송 보도국 정치부 황민호 기자의 조모 이강매 여사가 12월 10일 별세했다. 향년 100세.빈소는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장례식장 특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12일.
[더보기]
〈부고〉 고명석 조계종 총무원 종무관 모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고명석 조계종 총무원 종무관의 모친 강춘자 여사가 별세했다. 빈소는 안양 장례식장(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44번길 190)이며, 발인은 12월 11일. 장지는 수원연화장-충북음성 광명선원이다.
[더보기]
“정토회는 붓다의 삶과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공동체”
[원문]
[밀교신문 홈]
“정토회는 남녀노소와 승속의 차별이 없는 수행 공동체입니다.” 정토회 지도법사이자 평화재단 이사장 법륜 스님은 제1차 만일결사 회향을 앞두고 11월 24일 서울 정토사회문화회관에서 불교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법륜 스님은 “지난 1993년 시작한
[더보기]
〈부고〉 윤기엽 前 동국대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부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윤기엽 前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의 부친이 별세했다. 빈소는 일산 백병원 장례식장 2호실(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 일산백병원)이며, 발인은 11월 23일. 장지는 푸른솔 추모공원이다. 010-3441-8380
[더보기]
〈부고〉 최현호 조계종 교육원 행정관 부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최현호 조계종 교육원 행정관의 부친 최창수 님이 11월 15일 별세했다. 빈소는 서울 태릉성심장례식장 2층 목련실이며, 발인은 11월 17일 오전 9시. 장지는 천안추모공원(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밤나무골길 38)이다.
[더보기]
〈부고〉 여태동 불교신문 논설위원 모친상
[원문]
[금강신문 홈]
여태동 불교신문 논설위원의 모친 강순연 여사가 숙환으로 11월 10일 별세했다. 향년 84세. 빈소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요양병원 VIP실이며, 발인은 13일 오전 10시. 장지는 영주시 문수면 승문1리 막현마을 선영이다. 010-3686-1582
[더보기]
〈화촉〉 임병화 불교신문 전 편집국장의 장녀 임아란 양
[원문]
[금강신문 홈]
임병화 전 불교신문 편집국장의 장녀 임아란 양이 12월 3일(토) 오후 1시 서울 서초구 서초동 더화이트베일(남부터미널 건너) 3층 V홀에서 신랑 박유빈 군과 화촉을 밝힌다. 010-3715-3037
[더보기]
〈화촉〉 변대용 BTN 붓다회 본부장 아들 변무진 씨
[원문]
[금강신문 홈]
변대용 BTN불교TV 붓다회 본부장(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장)의 아들 변무진 씨가 11월 5일 오후 2시 서울 강서구 마곡동 보타닉파크웨딩 카라홀에서 신부 한수지 씨와 화촉을 밝힌다. 010-3549-8163.
[더보기]
〈화촉〉 이지범 고려대장경연구소장 아들 이민주 씨
[원문]
[금강신문 홈]
이지범 고려대장경연구소장의 아들 이민주 씨가 10월 15일 오후 4시 20분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3가 93-2 더컨벤션 영등포 2층 다이너스티홀에서 신부 김도연 씨와 화촉을 밝힌다. 010-3725-4846.
[더보기]
〈화촉〉 이용성 지하철 풍경소리 3녀 이수민 씨
[원문]
[금강신문 홈]
이용성 한국불교종단협의회 부설 지하철 풍경소리 사무총장의 3녀 이수민 씨가 10월 8일 오후 1시 서울 마포구 백범로 23 신촌 케이터틀 컨벤션홀에서 신랑 안성찬 씨와 화촉을 밝힌다. 010-2762-1830.
[더보기]
〈부고〉 손안식 조계종 중앙신도회 고문 별세
[원문]
[금강신문 홈]
손안식 조계종 중앙신도회 고문이자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 감사가 9월 13일 오후 3시 경 타계했다. 향년 83세. 고인은 1938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났다. 1967년 조계종 전국신도회와 인연을 맺고 본격적으로 재가 불자 운동에 매진했으며, 신도회의
[더보기]
“현정원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지키면서 종단 화합을 위해 노력”
[원문]
[밀교신문 홈]
지난 6월 23일 제434회 임시종의회 및 유지재단이사회 합동회의에서 제38대 현정원장에 선출된 능원 정사(서울 행원심인당 주교)는 7월 18일 본지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종헌·종법에 근거하여 객관적 심의 의결을 통해 원칙과 상식을 중시하는 종단문
[더보기]
“금강원 성역화 불사가 원만히 회향되도록 하겠다”
[원문]
[밀교신문 홈]
통리원장 도진 정사는 6월 29일 오전 울릉도 대아리조트에서 기자들과 차담을 통해 회당문화축제 개최의 소회와 회당대종사 탄생지인 금강원 성역화 불사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도진 정사는 “이번 축제는 코로나19 팬데믹 후 울릉도에서 열리는 첫 번
[더보기]
“화합하고 소통하는 종의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원문]
[밀교신문 홈]
진각종 종의회는 4월 21일 제432회 정기종의회 및 유지재단이사회 합동회의를 열고 대구 시경심인당 주교 덕운 정사를 임기 2년의 제16대 종의회 전반기 의장으로 선출했다. 덕운 정사는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어떤 상황이던지 제일 중요한 것은
[더보기]
“찾아가는 불교로 새로운 환경과 문화 앞장”
[원문]
[밀교신문 홈]
“공업과 선업으로 업장을 소멸하고 새로운 환경과 문화를 이루는데 앞장서 나가겠다” 천태종 제19대 총무원장 무원 스님은 4월 6일 서울 우면동 관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무원 스님은 “코로나 이후 새로운 환경으로 변해 가고
[더보기]
처음목록
새로고침
1
2
3
4
5
6
7
8
9
10
제목+태그
본문
이름
닉네임
아이디
등록일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회원가입
|
아이디/패스워드찾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 법문
ㆍ
견문이 적은 사람은 황소처럼 늙는다..
ㆍ
자기를 이기는 일은 남을 이기는 일보..
ㆍ
자기 하나를 이기는 이가 가장 뛰어난..
ㆍ
암흑에 쌓여 있는데 왜 빛을 구하지 ..
ㆍ
도를 사랑하기만 한다면 얻기 어렵다..
ㆍ
선행의 열매가 익으면 행복을 맛본다...
ㆍ
모든 것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ㆍ
원한을 품으면 원한이 가라앉지 않는다..
ㆍ
구사풀도 잘못 잡으면 손을 베는 것처..
ㆍ
바람이 바위 산을 정복할 수 없듯이..
ㆍ
왕후의 지위를 문틈을 지나가는 티끌과..
ㆍ
원한을 버릴 때에만 풀리리라..
ㆍ
바람이 약한 나무를 넘어뜨리듯..
ㆍ
선한 일은 서둘러 행하라..
ㆍ
선을 가볍게 여기지 말라..
불교사전색인
문화재
묘법연화경<권7>
(妙法蓮華經<卷七>)
종류 : 목판본류
연대 : 고려 충렬왕
소재 : 서울 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