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계(大戒) |
소계(小戒). ①구족계(具足戒)를 가리킴. 대승의 원돈계(圓頓戒)를 가리킴. |
|
대계(大界) |
3종 결계(結界) 중의 하나. 포살(布薩)이나 설계(說戒) 등의 의식이나 작법(作法)을 행하기 위해서 일정한 구획을 정하는 것. 그 구획 안의 대중들은 모두 그 행사에 참가하게 된다. 소계(小界). |
|
대고떼기 |
뿔, 뼈 등의 쐐기를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격지를 떼내는 후기구석기 시대 석기제작 수법. |
|
대공 |
대들보 위에 서서 종보와 종도리를 받치거나, 종보 중앙에 서서 종(마루) 도리를 받치는 구조물 |
|
대공(大空) |
①18공(空) 중의 하나. 색법(色法)은 모두 지(地), 수(水), 화(火), 풍(風), *4대(大)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空)일 뿐이라는 것. 대승에서 말하는 구경(究竟) 공적(空寂)의 이치, 즉 열반(涅槃)을 가리킴. |
|
|
대광명변조여래 |
*대광명편조여래의 속음. ⇒ 대일여래(大日如來).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