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
664년 당 나라 때 도선(道宣)이 찬술한 문헌. 후한(後漢) 시대부터 초당(初唐) 시대까지 한역된 경론 문헌들이 수록되어 있다. |
|
대당서역구법고승전(大唐西域求法高僧傳) |
의정(義淨)이 2권으로 저술한 문헌. 691년에 완성됨. 당 나라 때 현장(玄奘) 스님으로부터 의정(義淨) 스님에 이르기까지 약 50년 동안 인도로 구법 여행을 떠났던 스님들의 전기를 수록한 문헌. 대략 60명에 이르는 스님들의 행로와 여행지의 주변 정황들이 비교적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신라 출신의 스님들 즉 혜륜(慧輪)을 비롯한 여덟 명의 스님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도 주목을 끈다. 상권에서는 현조를 비롯한 41명의 고승들과 신라의 고승들 7명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서역구법고승전(西域求法高僧傳), 구법고승전(求法高僧傳). |
|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
문헌 이름. *현장(玄奘) 스님이 629년 8월부터 645년 2월에 걸쳐서 서역(西域) 지방을 비롯하여 인도(印度) 대륙의 여러 나라들을 여행한 순례기이다. 문헌 중에서 언급하고 있는 나라들의 수는 대략 138개 국에 이르며, 그 중에서 현장 스님이 직접 탐방했던 나라는 110개 국이며, 그 나머지는 다른 사람의 전언이나 다른 문헌들을 기록한 것이다. 각 나라의 불교 유적과 불교 신앙의 정세 및 각국의 풍속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대여행기로서 그 이름이 높다.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현장 스님은 수집해 온 수많은 경전들을 번역하는 데 그 일생을 바쳤으며, 중국 역경사에 신기원을 이루는 위업을 세웠다. 대당서역전(大唐西域傳). 서역기(西域記). |
|
대덕(大德) |
바단타(婆檀陀). ①부처를 가리킴. 덕이 높은 고승을 가리키는 말. 계사(戒師)를 가리킴. |
|
대도(大道) |
뛰어난 교법(敎法). 불법을 배우고 닦는 것을 가리킴. |
|
대들보 |
앞뒤 중간 기둥에 걸쳐서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큰 들보. 대량(大樑) |
|
|
대량 |
간 사이가 길어서 단면이 크고 길게 된 보. 대들보 |
|
대륜 |
관의 밑받침으로 머리에 얹혀지는 둥근 테. 관테 |
|
대림정사(大林精舍) |
대림은 마하바나의 번역. 고대 중인도의 비사리성(毘舍離城) 근처의 큰 숲에 있었던 정사 이름.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장소. 마하벌나정사(摩訶伐那精舍), 마하반정사(摩訶槃精舍), 마가반나정사(摩呵槃那精舍), 중각강당(重閣講堂).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