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방등다라니경(大方等陀羅尼經) |
북량(北涼) 시대 때 법중(法衆)이 번역. 방등(方等) 삼매에 대한 내용으로서,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해제 제1권. |
|
|
|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
6위(位) 심소(心所) 중의 하나. 모든 번뇌로 인해 일어나는 심소를 가리킴. 치(癡), 방일(放逸), 해태(懈怠), 불신(不信), 혼침(惛沈), 도거(掉擧) 등 여섯 가지가 있음. |
|
대범(大梵) |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 범천(梵天). |
|
대범왕(大梵王) |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대범천(大梵天), 범천(梵天), 마가범천(摩呵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 범천(梵天). |
|
대범천 |
①ⓟ ⓢMah brahm ⓣ ⓔ/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대범왕(大梵王), 마가범천(摩呵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대범(大梵). ⇒ 범천(梵天). ⓟ ⓢMah brahman ⓣ ⓔ/ 색계 18천 중 하나인 초선천의 제3천. |
|
대범천왕(大梵天王) |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왕(梵王), 대범왕(大梵王). ⇒ 범천(梵天). |
|
대법(大法) |
①사람을 구제하는 광대한 법. 불법(佛法)을 가리킴. 부처님의 가르침을 높여서 부르는 말. 소승의 가르침을 소법(小法)이라고 하는 데에 대해, 대승의 교법을 가리키는 말. 밀교의 대수법(大修法)을 가리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