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당 나라 때 불타다라(佛陀多羅)가 번역. 1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원각경(圓覺經)이라고 줄여서 말함. ☞ 해제 제1권.
대방등다라니경(大方等陀羅尼經)
북량(北涼) 시대 때 법중(法衆)이 번역. 방등(方等) 삼매에 대한 내용으로서,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해제 제1권.
대방등대집경(大方等大集經)
대집경(大集經)이라고 줄여서 말함. ☞ 해제 제1권.
대방편(大方便)
불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베푸는 광대한 방편.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위(位) 심소(心所) 중의 하나. 모든 번뇌로 인해 일어나는 심소를 가리킴. 치(癡), 방일(放逸), 해태(懈怠), 불신(不信), 혼침(惛沈), 도거(掉擧) 등 여섯 가지가 있음.
대범(大梵)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 범천(梵天).
대범왕(大梵王)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대범천(大梵天), 범천(梵天), 마가범천(摩呵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 범천(梵天).
대범천
①ⓟ ⓢMah brahm ⓣ ⓔ/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대범왕(大梵王), 마가범천(摩呵梵天). 대범천왕(大梵天王). 대범(大梵). ⇒ 범천(梵天). ⓟ ⓢMah brahman ⓣ ⓔ/ 색계 18천 중 하나인 초선천의 제3천.
대범천왕(大梵天王)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왕(梵王), 대범왕(大梵王). ⇒ 범천(梵天).
대법(大法)
①사람을 구제하는 광대한 법. 불법(佛法)을 가리킴. 부처님의 가르침을 높여서 부르는 말. 소승의 가르침을 소법(小法)이라고 하는 데에 대해, 대승의 교법을 가리키는 말. 밀교의 대수법(大修法)을 가리킴.
[처음][이전][11][12][13][14][15][16]17[18][19][20][다음]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