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비경(大悲經)
수(隋) 나라 때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와 법지(法智)가 공역. 석가모니의 열반, 전법의 부촉, 사리 공양의 공덕 등을 말하고 있으며, 총 5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해제 제1권.
대비구(大比丘)
①덕이 높은 장로(長老) 비구를 가리킴. 사미(沙彌)에 대해서 비구를 가리키는 말.
대비구삼천위의(大比丘三千威儀)
후한(後漢) 시대 때 안세고(安世高)가 번역. 비구가 지켜야 할 위의와 행법 1,380여 가지를 설명하고 있음. 총 2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 해제 제1권.
대비궁
임금의 어머니가 사시는 곳. 왕태후궁
대비로자나불(大毘盧遮那佛)
⇒ 대일여래(大日如來).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을 가리킴.
대비보살(大悲菩薩)
①관세음 보살의 별명. 대비(大悲)는 불보살을 일반적으로 수식하는 대표적인 말. 중생의 고통을 가엾이 여기고 구제해 주는 보살을 통칭하는 말.
대비심(大悲心)
중생을 불쌍히 여겨서 고통으로부터 구제해 주고자 하는 마음.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
천수(千手) 다라니의 별칭. ⇒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
대비원(大悲願)
불보살이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하고자 서약하는 자비로운 본원(本願). 아미타불의 48원(願)이 대표적인 예이다.
[처음][이전][11][12][13][14][15][16][17][18][19]20[다음]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