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마(達哩摩)
다르마의 음역. ⇒ 법(法).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
트라야스트링샤의 음역. 곧 도리천을 말함. 석가모니는 깨달음을 얻은 후 도리천에 머물던 생모 마야 왕비를 위해서 승천하여 석 달 동안 설법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도리천의 위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염부제보다 8만 유순만큼 높은 곳에 자리하며, 도리천의 1주야는 염부제의 100년에 해당하고, 그 곳에서의 수명은 염부제의 나이로 1,000세라 한다. ⇒ 도리천(忉利天).
달마
①ⓟ ⓢdharma ⓣ ⓔ/ 다르마의 음역. 達摩, 達麽라고도 함. *법(法)이나 규칙, 또는 천칙(天則)을 뜻함. 타마(駄摩). ⓟ ⓢBodhidharma ⓣ ⓔ/사람 이름. *보리달마(菩提達磨)의 줄임말.
달마굴다(達摩崛多)
다르마굽타의 음역. 사람 이름. ⇒ 달마급다(達摩笈多).
달마급다(達摩笈多)
다르마굽타의 음역. 사람 이름. 達磨笈多라고도 함. 남인도의 나라국(羅囉國에서 찰제리종(刹帝利種) 신분으로 태어남. 23세 때 출가하여 여러 사찰을 편력하며 대소승을 두루 공부했다. 590년에 중국 장안(長安)으로 들어가서, 대흥선사(大興善寺)에 머물면서 역경에 종사했다. 619년에 입적했으며,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등 총 7부 32권의 경론(經論)을 번역했다. 달마굴다(達摩崛多), 법밀(法密), 법장(法藏).
달마급다부(達摩及多部)
소승 20부파 중의 하나. 담무덕부(曇無德部)의 별칭. ⇒ 법장부(法藏部).
달마다라(達摩多羅)
다르마트라타의 음역. ①인도 출신의 비구 이름. 5세기경 생존. 불대선(佛大先)과 함께 계빈국(罽賓國)에서 대승의 선법(禪法)을 널리 폈다. 담마다라(曇摩多羅). 인도 출신의 학승 이름. 2세기경 생존 인물. ⇒ 법구(法救).
달마다라선경(達磨多羅禪經)
동진(東晋) 시대 때 불타발다라(佛陀跋陀羅)가 번역한 경. 수식관(數息觀), 부정관(不淨觀) 등을 설명하고 있다.
달마달라다(達摩呾邏多)
다르마트라타의 음역. 사람 이름. ⇒ 법구(法救).
달마류지(達摩流支)
다르마루치의 음역. 사람 이름. ⇒ 담마류지(曇摩流支).
[처음][이전][1][2][3][4][5][6]7[8][9][10][다음]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