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扶餘長蝦里三層石塔) 보물 | 석탑 | 1기 | 1963.01.21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 고려시대 | 국유 | 부여군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같은 돌로 너비를 좁히면서 3단의 기단(基壇)을 만들었다. 탑신(塔身)은 네 귀퉁이에 위로 오를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기둥 모양을 새겼고¸ 그 사이에 긴 판돌을 세워 면을 이루게 하였다. 3층에서 주목되는 점은 1·2층과는 달리 한 개의 돌로 몸돌을 이루었고 모서리에 기둥조각을 두는 대신 북쪽면에 세로로 긴 감실(龕室) 모양을 새겼다는 것이다. 감실은 목탑에 많이 나타나던 것으로 불상을 모시는 방을 의미한다. 석탑에서는 대부분 이를 형상화하는데 그쳐 모양만을 새기는 정도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은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조형감각이나 수법에서 훨씬 떨어지는 작품이다.
1931년에 탑신 1층의 몸돌에서 상아불상¸ 목제탑¸ 다라니경 조각 등이 발견되었으며¸ 1962년 해체 수리시에는 2층에서 지름 7㎝¸ 깊이 12㎝로 사리를 두는 공간이 둥근 형태로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41개의 사리가 들어있었다. 이 유물들은 모두 국립부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