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문화재 홈 > 문화재 상세정보
리스트로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
보물 | 석불(부동산) | 1구 | 1963.01.21
충남 논산시 은진면 관촉리 254 | 고려시대 | 관촉사 | 관촉사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으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며 높이가 18m에 이르는데¸ 당시 충청도에서 유행하던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원통형의 높은 관(冠)을 쓰고 있고¸ 그 위에는 이중의 네모난 갓 모양으로 보개(寶蓋)가 표현되었는데¸ 모서리에 청동으로 만든 풍경이 달려 있다. 체구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옆으로 긴 눈¸ 넓은 코¸ 꽉 다문 입 등에서 토속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옷주름선이 간략화되어 단조롭다. 불상의 몸이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든 느낌을 주며¸ 대형화된 신체에 비해 조각수법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 광종 19년(968)에 만든 관음보살상이라 전해지는데¸ 연대 고찰을 위해 참고할 만하다. 이 보살상은 경기·충청일대에서 특징적으로 조성되었던 토착성이 강한 불상으로¸ 새로운 지방적 미의식을 나타내고 있어 크게 주목된다.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