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문화재 홈 > 문화재 상세정보
리스트로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공주송산리고분군

(公州宋山里古墳群)
사적 | 고분 | | 1963.01.21
충남 공주시 금성동 산5-1 | 백제시대 중기 | 국유¸사유 | 공주시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웅진 백제시대 왕들의 무덤이 모여있는 곳이다. 무녕왕릉을 포함한 이 일대의 고분들은 모두 7기가 전해지는데¸ 송산을 주산으로 뻗은 구릉 중턱의 남쪽 경사면에 위치한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무녕왕릉과 5 ·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는 1∼4호분이 있다. 1∼6호분은 일제시대에 조사되어 고분의 구조와 형식이 밝혀졌고¸ 무녕왕릉은 1971년 5 ·6호분의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먼저 1∼5호분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무덤 입구에서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널방(현실)에 이르는 널길이 널방 동쪽벽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4호분은 바닥에 냇자갈을 깔아 널받침(관대)을 만들었는데¸ 5호분은 벽돌을 이용하였다. 이처럼 같은 양식의 무덤이면서 구조와 규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은 시기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5호분은 원형으로 남아 있으나¸ 1∼4호분은 조사되기 전에 이미 도굴되었다. 이외에 벽돌무덤(전축분)으로 송산리벽화고분이라고도 불리는 6호분과 무녕왕릉이 있다. 6호분은 활모양 천장으로 된 이중 널길과 긴 네모형의 널방으로 되어 있는데¸ 오수전(五銖錢)이 새겨진 벽돌로 정연하게 쌓았다. 널방 벽에는 7개의 등자리와 사신도 · 일월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무녕왕릉도 6호분과 같이 연꽃무늬 벽돌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반복하여 벽을 쌓았다. 벽에는 5개의 등자리가 있고¸ 무덤주인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지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6호분과 무녕왕릉은 현재 남아있는 백제의 벽돌무덤으로¸ 모두 터널형 널방 앞에 짧은 터널형 널길을 가지고 있으며 긴 배수로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벽화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녕왕릉의 경우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어¸ 백제사회의 사회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절대자료로 평가된다.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