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
부처님을 모셔놓고 불교의 전도, 수도 등을 하는 사원. 절
가람(伽藍)
스님들이 한데 모여서 수행하고 생활하는 곳. 흔히 말하는 절이나 *사찰(寺刹), *사원(寺院). 중국의 선종 이래로 가람의 기본 구조로서 7당(堂) 가람을 꼽는다. 7당으로는, 불상을 모시는 전각(殿閣), 법회를 여는 강당(講堂), 스님들의 거처인 승당(僧堂), 주고(廚庫) 즉 부엌, 욕실, 동사(東司) 즉 뒷간, 산문(山門) 등이 꼽힌다. 불사(佛寺), 승단(僧團), 승원(僧院), 중원(衆園). *승가람마(僧伽藍摩).
가력가(迦力迦)
칼리카의 음역. 16나한 중 제7나한의 이름. ⇒ 가리가(迦哩迦).
가루라(迦樓羅)
가루다의 음역. 迦婁羅, 伽樓羅라고도 함. 거대한 새의 형상이며, 두 날개를 펴면 길이가 300여 만 리에 달하고, 거처는 4천하(天下)의 대수(大樹)이며, 용(龍)을 먹이로 한다고 함. 대승 불교에서는 8부중(部衆)의 하나로 꼽는다. 밀교에서는 대범천(大梵天), 대자재천(大自在天)이 중생을 구하기 위해 가루라의 모습으로 화현한다고 하며, 또는 문수 보살의 화신이라고도 한다. 태장계 만다라의 외금강원에 자리한다. 가류라(迦留羅), 게로다(揭路茶), 가루다(迦嘍茶), 금시조(金翅鳥), 묘시조(妙翅鳥), 식토비고성(食吐悲苦聲).
가류라(迦留羅)
가루다의 음역. ⇒ 가루라(迦樓羅).
가릉가국(迦陵伽國)
칼링가의 음역. 고대 남인도에 있었던 나라 이름. ⇒ 갈릉가국(羯陵伽國).
가릉비가(迦楞毗伽)
kalavinka의 음사니, 보통 많이 쓰이는 가릉빈가(迦陵頻伽)가 원음에 가까다. 히말라야 산 속에 있고, 껍질 속에 있을 때에도 능히 아름다운 소리로 울 수 있다 한다. 또 극락정토에 있는 새라고도 한다.
가리가(迦哩迦)
칼리카의 음역. 16나한 중 제7나한의 이름. 1,000명의 권속과 함께 승가다주(僧伽茶州)에 머묾. 가력가(迦力迦), 가라(迦羅).
가리저(訶利底)
하리티의 음역. 야차(夜叉) 여신의 이름. 반시라(半尸羅) 야차에게 시집 가서 500명의 자식을 낳았다고 함. 또는 1,000명 내지 10,000명의 자녀를 낳았다고도 함. 순산(順産)과 자녀 양육의 여신으로 숭배됨. 밀교에서, 태장계 만다라의 외금강부에 자리한다. 가리제(呵利帝), 가리타(呵利陀), 청색(靑色), 황색(黃色), 청의(靑衣), 가리제모(呵利帝母), 귀자모(鬼子母), 애자모(愛子母), 천모(天母), 환희모(歡喜母), 공덕천(功德天), 길상천(吉祥天).
가리제(呵利帝)
하리티의 음역. 訶利帝, 訶哩帝라고도 함. ⇒ 가리저(訶利底).
[처음][이전][1][2]3[4][5][6][7][8][9][10][다음]
회원 로그인
아이디/비번 기억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많이 본 글
댓글 많은 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