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행위(加行位) |
견도(見道)에 이르기 전에 *가행의 수행을 완성하는 지위. 견도를 결택분(決擇分)이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 순결택분(順決擇分)이라고 함. |
|
가호(加護) |
불보살이 위신력으로 중생을 보호하는 것. 호념(護念), 가지(加持). |
|
가화장부(可化丈夫) |
석가모니를 부르는 열 가지 호칭 중 하나. 힘세고 거친 장부들을 교화시키는 이라는 뜻. ⇒ 조어장부(調御丈夫). |
|
각 |
①ⓟ ⓢbuddha ⓣ ⓔ/ 붓다의 번역. ⇒ 부처. ⓟ ⓢbodhi ⓣ ⓔ/ 열반의 이치를 깨달아서 얻은 지혜. 보리(菩提), 도(道). *불각(不覺)의 반대로서, 망념(妄念)을 떠나 깨달음을 얻은 것. ⓟ ⓢvitarka ⓣ ⓔ/ *심(尋)의 구역(舊譯) 용어. |
|
각 |
궁궐, 절, 객사 같은 곳에서 중요한 구실을 하는 건물로 대개 1층 팔작집으로 지어지나, 원래는 누와 함께 2층 건물을 뜻하는 한자어임. |
|
|
각관(覺觀) |
vitarka와 vicāra의 구역(舊譯). 신역(新譯)에서는 심사(尋伺). 각(覺)은 사물을 헤아리는 거친(면밀하지 못한) 마음의 작용. 관(觀)은 면밀한 작용. 말을 하게하는 인(因)이 된다. |
|
각루 |
성벽 모서리 위에 지은 다락집으로 성을 지키는 보초병이 망을 보는 곳 |
|
각명(覺名) |
붓다야샤의 번역. 사람 이름. 覺明이라고도 함. ⇒ 불타야사(佛陀耶舍). |
|
각모(覺母) |
불보살의 지혜를 낳는 근원. ⇒ 지모(智母). |
|
|